지하철과 버스는 많은 국민이 매일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입니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행동 수칙과 주의 사항을 실천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모두가 꼭 알아야 할 대중교통 안전 예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하철·버스 이용 시 안전사고 예방법 – 바쁜 일상, 안전 먼저! [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1. 👀 탑승 전, 주변 상황을 살펴보세요
지하철 플랫폼이나 버스 정류장에서는 자세를 낮추거나 스마트폰에 집중하는 행동은 위험할 수 있어요.
열차가 들어올 땐 노란선 뒤에서 기다리고, 버스가 완전히 정차한 후 천천히 다가가세요.
비·눈 오는 날엔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지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2. 🚏 승하차 시에는 서두르지 않기
버스나 지하철 문이 열릴 때 밀거나 뛰는 행동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하차할 땐 먼저 내리는 사람을 배려하고, 질서를 지켜 한 줄로 이동하세요.
문이 닫히는 순간 탑승을 시도하면 문에 끼이거나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습니다.
3. 🧍 차량 안에서는 손잡이 꼭 잡기
운행 중 급정거나 급출발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서 있는 승객은 손잡이나 봉을 반드시 잡아야 해요.
물건을 주우려고 몸을 숙이는 것보다는 정차 후 움직이는 것이 안전합니다.
빈손이더라도 중심을 잡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4. 🛗 에스컬레이터 이용 시 주의할 점
지하철역 내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뛰지 말고 손잡이를 잡고 올라가야 해요.
가방끈이나 옷자락이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유모차나 자전거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안전해요.
아이들과 함께라면 손을 꼭 잡고 옆에 바짝 붙어 서세요.
[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5. 🚨 사고 발생 시 침착하게 대처하기
만약 차량 내 사고나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버튼이나 인터폰을 이용해 바로 알리세요.
몸이 불편하거나 다친 승객이 있다면 주변 사람들과 함께 도와야 합니다.
불이 났을 경우엔 비상문 위치를 미리 확인해 두고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하는 것이 최선이에요.
6. 👵👶 노약자·어린이와 함께할 땐 더 주의 깊게
어르신이나 어린이와 함께 탑승할 경우에는 계단, 문틈, 손잡이 위치 등을 사전에 알려주는 것이 좋아요.
지하철 문틈에 발이 끼지 않도록 유도하고, 아이는 좌석에 앉히거나 보호자의 무릎 위에 두세요.
작은 설명과 동행이 큰 사고를 막는 예방책이 됩니다.
초등학생 재난안전 교육 영상
마치며
지하철과 버스는 편리하지만, 잠깐의 방심으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나 하나의 실천이 모두의 안전을 지키는 시작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기억하고 실천한다면, 모두가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는 교통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생활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산불 발생 시 안전하게 벗어나는 방법 (4) | 2025.05.01 |
---|---|
[재난관리,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국내 5~6월 생활안전사고 사례" 아파트화재·캠핑장폭발·통학버스사고 분석과 대응방안 (6) | 2025.04.30 |
[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일상에서 실천하는 사이버 안전, " 개인정보와 디지털 습관 지키기" (5) | 2025.04.28 |
[국민,안전교육,생활,지식] 야외활동 중 벌이나 동물로부터 나를 지키는 법," 자연에서의 똑똑한 대처법" (4) | 2025.04.27 |
[생활안전]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안전한 생활 – 물림 사고 예방 (3) | 2025.04.24 |